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10

[스크랩] ♣심우도(尋牛圖)/십우도(十牛圖)♣

심우도(尋牛圖)/십우도(十牛圖) 심우/ 견적/ 견우/ 득우/ 목우/ 기우귀가/ 망우재인/ 인우구망/ 반본환원/ 입전수수 수행자가 정진(精進)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어 십우도(十牛圖) 또는 목우도(牧牛圖)라..

무심(無心)이 부처다! -성철스님 법어록

불교라고 하면 부처님이 근본입니다. "어떤 것이 부처냐" 하고 묻는다면 여러 가지로 대답할수 있지만 그러나 실제로 부처라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말하기는 좀 곤란한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의 근본 원리 원칙을 생각한다면 곤란할 것도 없습니다. 모든 번뇌망상 속에서 생활하는 것을 중생이라 하고..

사성제(四聖諦; cattari ariyasaccani) - 네가지의 진리

사성제(四聖諦; cattari ariyasaccani) - 네가지의 진리 4성제에서 ‘제(諦,satya)''''란 ’진리‘ 또는 ’진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4성제란 ’4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라는 말이다. 이것은 고성제(苦聖諦), 집성제(集聖諦), 멸성제(聖諦) 도성제(道聖諦)를 가르키는 것으로서 간단하게 ''''고집멸도'''' 라고도 한..

우란분절(백중,백종) 의 유래와 의미

우란분절을 맞이하여 공양을 올리는 불자들 ■우란분절(백중,백종) 의 유래와 의미 매년 음력 7월 보름은 스님들이 여름 안거(집중 수행 기간)를 끝내는 해제일이다. 세속에서는 백중(百中)이라 부르는데, 불교에서는 우란분절이나 우란분재라 하여 특별히 조상을 천도하는 행사를 봉행한다. 불교 5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