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심우도(尋牛圖)/십우도(十牛圖)♣ 심우도(尋牛圖)/십우도(十牛圖) 심우/ 견적/ 견우/ 득우/ 목우/ 기우귀가/ 망우재인/ 인우구망/ 반본환원/ 입전수수 수행자가 정진(精進)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어 십우도(十牛圖) 또는 목우도(牧牛圖)라..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11.04.21
무심(無心)이 부처다! -성철스님 법어록 불교라고 하면 부처님이 근본입니다. "어떤 것이 부처냐" 하고 묻는다면 여러 가지로 대답할수 있지만 그러나 실제로 부처라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말하기는 좀 곤란한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의 근본 원리 원칙을 생각한다면 곤란할 것도 없습니다. 모든 번뇌망상 속에서 생활하는 것을 중생이라 하고..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9.07.03
불교와유식 <불교와 유식> 이 명 권 1. 유식이란 무엇인가? 1) 부파불교 : 아공법유(我空法有) - 說一體有部<俱舍論(>5位 75法) 5위 : 色法, 心法, 心所有法, 不相應法, 無爲法 2) 대승불교 : 아법구공(我法俱空) 3) 유식(唯識, vijnapti) : <海深密經>에 의하면, 識이란 ‘자기의 내부에서 所緣(대상)을 보는 것’..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9.06.24
유식불교 유식불교의 인식논리 근원적인 인간 의식의 기본에 의해서 우리들의 생존을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양상이 있다. 그 세 가지의 양상이 그 근원에 있어서 공(空)이라고 하는 것을 입증하는 유식불교의 논리를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변계소집성( 計所執性)이다. 이것은 그릇된 계산, 그..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9.06.24
과학이 설명하는 사리 과학이 설명하는 사리 (1) 1993년 11월 10일 거행된 조계종 성철 종정 다비식에서 석가모니 이래 가장 많은 사리가 나와 불교계와 일반인의 관심을 모았다. 성철 종정 장례 위원회가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성철 종정의 법골로부터 모두 110과(顆)의 사리가 최종적으로 수습되었는데 사리들은 콩알 크기로..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7.09.03
불교의 업사상 삼업(三業) 法數로 배우는 불교 - 몸-행동 입- 말 마음-분별이 업지어 - - 행·불행 주체 …“깨달아 벗어나자”- 흔히 쓰는 말들가운데 업(業)이라는 것이 있다. “내가 전생에 무슨 업을 지었길래 팔자가 이 모양이냐”하는 푸념에도 들어있고 “이게다 너의 업보니 달게 받아라”하는 질책에도 들어..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7.09.03
팔정도(八正道) 팔정도(八正道) 여덜가지의 바른길 `소나경`은 중도를 거문고 줄의 비유로써 설명하고 있다. 거문고 줄은 지나치게 팽팽해도 그와 반대로 지나치게 느슨해도 좋은 소리를 낼 수 없다. 거문고가 가장 좋은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그 줄이 적당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처럼 열반을 얻기 위한 ..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7.09.03
사성제(四聖諦; cattari ariyasaccani) - 네가지의 진리 사성제(四聖諦; cattari ariyasaccani) - 네가지의 진리 4성제에서 ‘제(諦,satya)''''란 ’진리‘ 또는 ’진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4성제란 ’4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라는 말이다. 이것은 고성제(苦聖諦), 집성제(集聖諦), 멸성제(聖諦) 도성제(道聖諦)를 가르키는 것으로서 간단하게 ''''고집멸도'''' 라고도 한..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7.09.03
우란분절(백중,백종) 의 유래와 의미 우란분절을 맞이하여 공양을 올리는 불자들 ■우란분절(백중,백종) 의 유래와 의미 매년 음력 7월 보름은 스님들이 여름 안거(집중 수행 기간)를 끝내는 해제일이다. 세속에서는 백중(百中)이라 부르는데, 불교에서는 우란분절이나 우란분재라 하여 특별히 조상을 천도하는 행사를 봉행한다. 불교 5대 ..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7.09.03
불자기초상식 알아두면 좋은 불자상식 ▣ 사찰의 문 1.일주문 * 절 입구에 양쪽 하나씩의 기둥으로 세워진 건물 * 일주문을 경계로 문밖을 속계, 문안을 진계라 부름 2.천왕문 * 부처님의 세계를 지키는 사천왕을 모신 문 : 일명 봉황문 * 동쪽에 지국천왕-비파 가짐 * 서쪽에 광목천왕-여의주,새끼줄 가짐 * 남쪽에 증..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7.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