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보장경(雜寶藏經)- 걸림 없이 살 줄 알라 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 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 자기가 아는 대로 진실만을 말하여 주고받는 말마다 악(惡)을 막아 듣는 이에게 편안함과 기쁨을 주어라. 무엇을 들었다고 쉽게 행동하지 말고 그것이 사실인지 깊이 생각하여 행동하라. 지나치게 인색하지 말고, 성내거나 ..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8.20
달마 관심론(觀心論) 14 <끝> 달마 관심론(觀心論) 14 <끝> 어리석은 이 작은 쾌락 탐하며 닥쳐 올 큰 고통 깨닫지 못하니 竊見今時淺識 절견금시천식 唯知立相爲功 유지입상위공 廣費財寶 광비재보 多傷水陸 다상수륙 妄營像塔 망영상탑 虛役人功 허역인공 積木壘泥 적목누니 塗靑畵綵 도청화채 傾心盡力 경심진력 損己迷他 ..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
달마 관심론(觀心論) 13 달마 관심론(觀心論) 13 말로 인해 뜻을 얻지만 뜻 얻고나면 말은 잊어버리라 因筌求魚 得魚忘筌 인전구어 득어망전 因言得意 得意忘言 인언득의 득의망언 旣稱念佛之名 기칭염불지명 須行念佛之體 수행염불지체 若念無實體 口誦空名 약염무실체 구송공명 徒自虛功 有何成益 도자허공 유하성익 且..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
달마 관심론(觀心論) 12 달마 관심론(觀心論) 12 겉의 예배통해 마음 밝아짐은 성품과 겉모습 서로 같기 때문 以恭敬故 不敢毁傷 以屈伏故 이공경고 불감훼상 이굴복고 無令縱逸 若能惡情永滅 善念恒存 무령종일 약능악정영멸 선념항존 雖不現相 常爲禮拜 其相者則身相也 수불현상 상위예배 기상자즉신상야 欲爲令諸世俗 ..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
달마 관심론(觀心論) 11 달마 관심론(觀心論) 11 모든 계행 법답게 지켜 보호하고 반드시 삼독끊어 몸과 마음 청정 又持齋者 當須會意 不達其理 우지재자 당수회의 부달기리 徒施虛功 齋者齊也 所謂勤治身心 도시허공 재자제야 소위근치신심 不令散亂 持者護也 所謂於諸 불령산란 지자획야 소위어제 戒行 如法護持 必須禁六..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
달마 관심론(觀心論) 10 달마 관심론(觀心論) 10 근기 둔한 사람 밖으로 과보 구해 밤낮 분주하게 세간의 탑 돈다 又長明燈者 正覺心也 覺知明了 우장명등자 정각심야 각지명료 喩之爲燈 是故一切求解脫者 유지위등 시고일체구해탈자 常以身爲燈臺 心爲燈盞 信爲燈炷 상이신위등대 심위등잔 신위등주 增諸戒行 以爲添油 智..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
달마 관심론(觀心論) 9 달마 관심론(觀心論) 9 정법의 향과 꽃 공양하라 하였는데 근기 둔하여 향 태우고 꽃 뿌리니… 燒香者亦非世間有相之香 소향자역비세간유상지향 乃至無爲正法之香 내지무위정법지향 薰諸臭穢 斷無明惡業 훈제취예 단무명악업 悉令消滅 其正法香有五種 실령소멸 기정법향유오종 一者戒香 所謂能斷..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
달마 관심론(觀心論) 8 달마 관심론(觀心論) 8 몸 가운데 진여불성 녹여서 계율의 틀에 넣으면 ‘眞容의 모습’ 以大慈悲憐憫一切故 於淸淨法體中 이대자비연민일체고 어청정법체중 流出如是三聚淨戒 六波羅密 유출여시삼취정계 육바라밀 微妙法乳 乳養一切求解脫者 마묘법유 유양일체구해탈자 飮如是淸淨之牛 淸淨之乳..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
달마 관심론(觀心論) 7 달마 관심론(觀心論) 7 육바라밀은 배와 같아서 모든 중생 피안으로 운반 能制舌賊 不貪邪味 讚詠講說 능제설적 불탐사미 찬영강설 無疲厭心 名爲精進 能伏身賊 무피염심 명위정진 능복신적 於諸觸欲 湛然不動 名爲禪定 어제촉욕 담연부동 명위선정 能調意賊 不順無明 常修覺慧 능조의적 불순무명 ..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
달마 관심론(觀心論) 6 달마 관심론(觀心論) 6 계·정·혜 청정한 법 지켜 삼독 벗어나 불도 이루어야 常修戒對貪毒 誓斷一切惡故 상수계대탐독 서단일체악고 常修定對瞋毒 誓修一切善故 상수정대진독 서수일체선고 常修慧對痴毒 誓度一切衆生故 상수혜대치독 서도일체중생고 由持如是 戒定慧等三種淨法故 유지여시 계.. 여시아문(如是我聞)/경전 2007.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