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무엇이든 믿는 만큼 이루어진다. 믿음의 크기만큼 두려움은 작아진다. 반쪽 마음의 소유자가 되지 말라. 문제가 있으면 그저 생각하라. 문제의 모든 해답은 마음속에 있다. 자신을 믿으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고 믿는 만큼 이루어진다.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9.01.05
길(道) 산다는 것은 길을 가는 것이다, 그 길(道)을 바로 알고, 바르게 따라 걷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가 길을 바르게 알아 그 길(道)을 따라 목적지를 향하듯 인생의 길 역시 바른 길을 따라 걸어야만 올바른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 인생의 출구와 입구는 모두 자신의 마음따라 지어지는 것이고 ..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9.01.05
새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복은 그냥 오는 것이 아닙니다. 씨앗을 뿌린 만큼 새싹이 돋고 노력한 만큼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씨앗은 인(因)이고 열매는 과(果)입니다. 즐거움에는 즐거움의 원인이 있고 괴로움에는 고통의 원인이 있습니다. 원인없는 결과 없듯이 오늘 새해 아침에 좋은 생각, 바른 몸가..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9.01.05
노년(老年)의 지혜(智惠) 노년(老年)의 지혜(智惠) 여보게! 나이가 들었으니 설치지 말고 미움받을 소리, 남 헐뜯는 소리, 그리고 군소리 불평 불만을 하지마소. 알고도 모르는 척, 모르면서도 적당히 하는 척, 어수룩 하소. 그렇게 사는 것이 편안하다오. 친구여!, 상대방을 꼭 이기려 하지마소, 적당히 져 주구려. 한 걸음 비켜..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29
- 마음의 붓 - 귀로 무엇을 듣고, 눈으로 무엇을 보는가? 혀는 마음의 붓이다. 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느냐 따라 혀는 움직인다. 내가 한 말은 나의 업의 소산이고 입에서 나간 말을 다시 붙잡을 수가 없다. 세번 생각하고 입을 열라. 침묵하면 어리석음이 지혜로 바뀐다.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18
만족 스스로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남의 몫을 남의 그릇을 보려고 하지 말라. 누가 내 인생을 만들어 주는가. 내가 내 인생을 만들어 갈 뿐이다. 행동의 씨앗을 뿌리면 습관의 열매가 열리고, 습관의 씨앗을 뿌리면 성격의 열매가 열리고, 성격의 씨앗을 뿌리면 운명의 열매가 열린다.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16
평화 삶을 살아가면서 언제나 중요하게 다가오는 것은 마음의 평화에 대한 문제다. 우리는 곧 잘 삶의 고통에 대해 외부의 것들에 그 원인을 돌리지만, 사실 그것은 전적으로 우리의 마음에 달려 있다. 내 마음의 밭에 부정적인 씨앗이 없는지? 조용히 자신의 마음에 귀를 기울여라. 모든 문제는 자신이 만든..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16
기도 우리가 살아있다는 사실이 신비이고 기적이다. 우리가 가장 잘 사는 방법은 많은 것들을 사랑하는 것이다. 기도는 인간을 결코 속이지 않는다. 우리를 속이는 것은 항상 우리 자신이다. 삶을 음미하듯이 기도를 음미하라, 음미하지 않는 기도는 가치가 없다. 내가 믿는 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 것..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16
올바름이란? 팔정도에서의 정(正)이란 사제(四諦)의 가르침에서 고락중도(苦樂中道), 즉 고와 낙의 중도라는 말로 설해지고 있다. 이는 단지 괴로움과 즐거움의 중간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인생에 있어 낙과 고는 둘 다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얻은 낙은 그대로 즐거움이지만 그것에 집착하지 말며 괴로움이 와도 굳..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11
비교 모든 비교를 놓아버리라. 비교하면 괴로움과 시비가 일어나게 된다. 나는 나로써 온전한 몫이 있다. 풀꽃이 다른 꽃과 시기하지 않듯 모두가 나답게 살기 위해 이 땅에 화현한 것이다. 진정한 행복은 내 안에서 충만된 기쁨이고 불행은 비교에서 오는 것이다. 놓아 버려라. 그러면 행복할 것이다.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