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심우도(尋牛圖)/십우도(十牛圖)♣ 심우도(尋牛圖)/십우도(十牛圖) 심우/ 견적/ 견우/ 득우/ 목우/ 기우귀가/ 망우재인/ 인우구망/ 반본환원/ 입전수수 수행자가 정진(精進)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어 십우도(十牛圖) 또는 목우도(牧牛圖)라..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11.04.21
무심(無心)이 부처다! -성철스님 법어록 불교라고 하면 부처님이 근본입니다. "어떤 것이 부처냐" 하고 묻는다면 여러 가지로 대답할수 있지만 그러나 실제로 부처라는 그 구체적인 내용을 말하기는 좀 곤란한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의 근본 원리 원칙을 생각한다면 곤란할 것도 없습니다. 모든 번뇌망상 속에서 생활하는 것을 중생이라 하고..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9.07.03
불교와유식 <불교와 유식> 이 명 권 1. 유식이란 무엇인가? 1) 부파불교 : 아공법유(我空法有) - 說一體有部<俱舍論(>5位 75法) 5위 : 色法, 心法, 心所有法, 不相應法, 無爲法 2) 대승불교 : 아법구공(我法俱空) 3) 유식(唯識, vijnapti) : <海深密經>에 의하면, 識이란 ‘자기의 내부에서 所緣(대상)을 보는 것’..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9.06.24
유식불교 유식불교의 인식논리 근원적인 인간 의식의 기본에 의해서 우리들의 생존을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양상이 있다. 그 세 가지의 양상이 그 근원에 있어서 공(空)이라고 하는 것을 입증하는 유식불교의 논리를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변계소집성( 計所執性)이다. 이것은 그릇된 계산, 그.. 여시아문(如是我聞)/불교관련 이야기 2009.06.24
믿음 무엇이든 믿는 만큼 이루어진다. 믿음의 크기만큼 두려움은 작아진다. 반쪽 마음의 소유자가 되지 말라. 문제가 있으면 그저 생각하라. 문제의 모든 해답은 마음속에 있다. 자신을 믿으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고 믿는 만큼 이루어진다.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9.01.05
길(道) 산다는 것은 길을 가는 것이다, 그 길(道)을 바로 알고, 바르게 따라 걷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가 길을 바르게 알아 그 길(道)을 따라 목적지를 향하듯 인생의 길 역시 바른 길을 따라 걸어야만 올바른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다. 인생의 출구와 입구는 모두 자신의 마음따라 지어지는 것이고 ..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9.01.05
새해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복은 그냥 오는 것이 아닙니다. 씨앗을 뿌린 만큼 새싹이 돋고 노력한 만큼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씨앗은 인(因)이고 열매는 과(果)입니다. 즐거움에는 즐거움의 원인이 있고 괴로움에는 고통의 원인이 있습니다. 원인없는 결과 없듯이 오늘 새해 아침에 좋은 생각, 바른 몸가..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9.01.05
노년(老年)의 지혜(智惠) 노년(老年)의 지혜(智惠) 여보게! 나이가 들었으니 설치지 말고 미움받을 소리, 남 헐뜯는 소리, 그리고 군소리 불평 불만을 하지마소. 알고도 모르는 척, 모르면서도 적당히 하는 척, 어수룩 하소. 그렇게 사는 것이 편안하다오. 친구여!, 상대방을 꼭 이기려 하지마소, 적당히 져 주구려. 한 걸음 비켜..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29
- 마음의 붓 - 귀로 무엇을 듣고, 눈으로 무엇을 보는가? 혀는 마음의 붓이다. 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느냐 따라 혀는 움직인다. 내가 한 말은 나의 업의 소산이고 입에서 나간 말을 다시 붙잡을 수가 없다. 세번 생각하고 입을 열라. 침묵하면 어리석음이 지혜로 바뀐다. 여시아문(如是我聞)/일일명상 2008.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