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사진자료

사진을 찍을 때 고려해야할 부분들...

大空 2009. 1. 2. 12:34

1. 빛의 강약을 항상 생각해라(빛의 관용도)

 

2. 그리고 사진에 담을 피사체에 대하여, 질문을 하라

    그 피사체가 사진안에서 꼭 있어야 하는지.....

 

3. 주피사체와 보조피사체를 2등분 하지 말라.

    보조피사체가 있을 때는 사진가가 그 보조피사체가 있어야 할 이유를

    분명하게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야기 할 수 없을 때는 보조 피사체를 사진에 넣지 마라

 

4. 배경이 중요하지 않으면, 심도를 얕게 하라...

 

5. 사진의 테두리에 여백을 두어라 아니면,

    가장 좋은 여백은 여백이 없는 것일 수 도 있다,

    (즉, 피사체에 더 다가가서 부분을 찍어라)

 

6. 동적인 것은 진행방향으로 여백을 주어야 답답한 느낌이 없다.

 

7. 기초일때는 사진기의 매커니즘을 정확하게 알고, 명암과 채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예쁜 것을 찍어라.

   꽃등을 많이 찍고, 본 것을 사진기를 통해서 정확하게만 표현하라.

   주변에 쉽게 접할 수 있는 피사체 중 한 종류만을 줄기차게 찍어봐라

 

8.  빛,에는 역과, 측과, 순광이 있으며 그사이에 역사광과 사광이 있음,

    역광과 후사광은 사진에 생기를 불어줌

9. 사진은

    피사체만을 중시하는 인물사진과,

    피사체와 배경을 같이 중시하는 풍경사진이 있는데,

     인물사진은 심도가 약 가슴위부분만 나올때는 F값을 5.6,

                                     허리위부분은 4,

                                     전신이 나올때는 2 ~ 2.8을 놓아라

     풍경사진은 심도를 얕게 가져가야함. 즉 F8 ~ F 11정도

     기타 접사사진등은 사진과 피사체간의 거리가 너무 짧기 때문에

      심도를 깊게 가져가야함...즉, F 11이상......

     또한 인물사진의 경우에는 뒷 배경과 거리를 멀리 가져가라..

 

10. 좁은 영역의 사진을 찍어라,

     - 빛, 사물등을 고려하여,

11. 색이 많은 것은 평균측광을 이용하여 찍고,

     단순한 배경등일 때는 부분측광을 사용하라.

 

12. 아이들은 되도록이면 가까이서 찍어라.

     그리고 아이의 눈높이나 그보다 낮은 자세로 찍어라...

 

13. 아이들이나 움직이는 피사체는 움직임을 예측하고

     미리 수동으로 촛점, 밝기 셔트타임 등을

     미리 맞추어 놓고,

      다른 행동을 하는 척 하다가 예상한 움직임을 하면

     순간적으로 찍어라,(중요)

14. 사진을 보는 사람의 시각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5. 그림자는 되도록이면 중앙으로 오도록 하라...

 

16. 하늘을 찍을 때는, 다른 보조물을 작게 넣어서 찍어라,(탑등)

 

17. 겨울에 낙옆이나 살얼음등을 접사로 찍어 보라,

     접사는 심도를 깊게 가져가야함.

 

18. 눈을 찍을 때는 눈의 입자들이 살아 있어야 함,

    그러기 위해서는 심도를 어떻게....(깊게...)

     그렇게 하려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삼각대가 필요하네요....

 

19. 밝기(노출) 설정

     대상피사체가 발광이 있을때(예:태양)에는 노출을 태양주변에

     조금 떨어진 곳에 스팟측광으로 약 3군데를 찍어서

     평균을 내어  밝기를 정한다.

 

20. 야간 은행동 등의 밝은 불빛이 많을 때는, 평균측광으로 사진을 찍게되면,

     주된 피조물이 어둡게 나오므로 "+"보정

     엑스포다리등은 배경이 어두운 부분이 많음으로 인하여 "-"보정

 

21. 일출, 일몰사진은 색온도를 높혀야 붉은 색이 더 많이 나타남.

     일출, 일몰사진은 가을이 좋음.......

22. 불꽃사진

     - F8, Time은 B셔터로 놓고,

     - 촛점을 미리 맟추어 놓고 , 수동으로 변환시킴,

     - 손수건으로 앞으로 렌즈를 가리고 있다가, 불꽃이 터질때

       한번씩 열어준다.

     - 불꽃은 약 3개정도 있으면 좋은데,

       불꽃이 겹치지 않도록 하면 좋은데 방법은 다리를 조금씩 옮기면 됨.

     - 불꽃이 내려오는 것은 찍지 마라

 

23. 움직이는 피사체는 전체가 시간을 길게가져가되,

     전체가 뭉개지면 안되고 아주 일부분만 뭉개지도록 할 것.

 

24. 사진은 대비가 있어야함,

     밝고 어두운 것(그림자를 이용하여), 직선과 곡선,

     정지된것과 움직이는 것등등....

     구도를 잘 고려할 것.

 

25. 심도관련 :

     - 평면사진(예: 키보드등...)은 심도를 깊게 가져가야함.

     - 꽃등은 일반적으로 F값이 약 8 ~ 16이상으로 해야만

       꽃 한송이가 분명하게 표시됨.

        이유는, 꽃을 가깝게 찍기 때문에, 심도를 깊게 가져가야함.

26. 사진에 흰색(RGB의 값이 255,255,255)가 없도록 할 것,

     이유는 인화를 하게되면, 보기가 좋지 않음.

     다만, 태양과 같이 경계선이 분명한 것은 흰색이 되어도 됨.

    

27. 무대사진은 조금 붉게 촬영해도 무방함, 분위가가 따듯함

     실내사진은 조금 붉게 나타나도 됨.

 

29. 사진을 촬영할 때에는 주피사체 뿐만 아니라 빛 배경을 항상고려하라,

     배경은 단순화 시켜라. 그래야만, 주피사체가 나타나지 않음.

     또한 배경에 불필요한 물체는 모두 제거해라, (예, 자동차등.....)

 

30. 동적인 사진은 진행하는 방향으로 여유를 두어라

    즉, 진행방향으로 여유를 두어야만 사진이 답답한 느낌이 없음.

 

31. 패닝

       1/10초정도 시간을 활보하고 심도는 최대한 깊게 가져가라.

 

32. 주밍/줌아웃

 

33. 다중촬영

       2장   :  노출을 -1로 보정  

       3장   :  노출을 -1.5로 보정  

       4장   :  노출을 -2로 보정  

34. 디지탈 사진의 빛 관용도는 사람의 눈보다 매우 낮다.

    그래서, 빛의 차이가 너무 많이 나면, 사람의 눈으로 본 것과

     다르게 사진이 나옴.